본문 바로가기
Post

가계대출 규제 총량 50% 감축.. 실수요자 대응 전략은?

by 브로든베이스 2025. 6. 30.

 

가계대출 총량 50% 감축..실수요자 대응 전략은?

2025년 7월부터 가계대출 총량 목표가 기존 계획의 절반으로 축소됩니다. 주요 은행은 비대면 대출을 중단하고, 주담대·정책대출 조건도 크게 바뀝니다. 실수요자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핵심 정보만 정리했습니다.

핵심 요약
• 총량 목표 50% 축소
• 정책대출 25% 감축
•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전면 제한
• 생애최초 LTV 80%→70%, 전입 의무 6개월
• 비대면·생활안정자금 대출도 줄어듦

1. 가계대출 총량 감축

금융위원회는 2025년 하반기부터 각 금융사에 대출 목표를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도록 조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연간 약 20조 원 규모의 대출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마 내수가 안도는 이유가 클 것 같네요..)

2. 정책대출도 줄인다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등 정책대출 공급도 25% 이상 축소됩니다. 실수요자도 이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으니 조건 확인이 필수입니다. (이것도 기준 금리가 줄어 대출 수요가 너무 커지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3. 수도권 주담대 문턱 올라간다

  • 주담대 한도: 6억 원 이하로 제한
  • 생애최초 LTV: 80% → 70%, 전입 의무 6개월
  • 다주택자: 수도권 주담대 전면 금지

4. 비대면·생활안정자금 대출 제한

현재 일부 은행에서는 비대면 주담대 및 신용대출을 중단하고 있으며, 생활안정자금 대출도 수도권 기준으로 1억 원 이하로 제한되고 있습니다.

5. DSR 규제, 대출 심사 강화

7월부터는 DSR 3단계 규제가 본격 시행됩니다. 실수요자도 대출 한도가 줄고, 금리 인상과 함께 대출 승인 조건이 까다로워질 전망입니다.

💡 실수요자 대응 전략

  • 📅 지금이 비대면 대출 신청 막차일 수 있음
  • 🏠 6억 이하 주택 + 실거주 계획 우선
  • 📄 서류 준비 및 전입 조건 확인
  • 📈 본인의 DSR 수준 확인하고 계획 세우기

※ 본 글은 공공기관 발표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최신 정보는 금융위, 국토부, 각 은행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