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주식 용어, 정의를 예시로 3분만에 쉽게 이해하기

by 브로든베이스 2023. 10. 8.
반응형

 

월급을 받는 직장인들은 일반 저축으로는 모으는 것에 한계가 있어 조금 더 단기간에 모으고 싶을 때 주식 투자를 생각하고는 합니다. 다만 무턱대고 시작하면 손해보기 쉬워서 지식을 쌓은 뒤에 투자해야 합니다.

그 이전에 첫 시작이라면 주식 용어부터 알아야겠죠? 하지만 너무 어렵다고 느끼는 분들이 많을 텐데 쉽게 설명 드릴게요.

 

주식 용어,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주식 용어 정리

영어로도 표현을 많이 하기 때문에 같이 알아두는 것이 좋아요.

 

주식(stock):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는 권리

주식시장(stock market): 주식을 사고파는 시장

주식회사(corporation):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을 투자받은 회사

보통주(common stock): 회사의 이익을 배당받을 권리를 가진 주식으로 흔히 주식이라 하면 보통주.

우선주(preferred stock): 보통주보다 우선하여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고 배당금도 보통주보다 많음.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 

시초가(opening price): 거래 시작 시의 가격이고 시가라고도 합니다.

종가(closing price): 거래 종료 시의 가격

 

직접 투자: 자신이 직접 주식을 매수하여 투자하는 방법

간접 투자: 펀드나 ETF처럼 전문가가 맡아서 투자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의 정의

 

용어를 알아도 주식이 무엇인지 모르고 투자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천지차이죠. 주식이 무엇인지 예시로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고 글 마치겠습니다.

 

예시로 어떤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이 회사를 차리고 싶은데 돈이 전혀 없습니다.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1억이 필요하다고 가정해볼게요. 하지만 돈이 없는 사람에게는 은행에서도 빌려주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럼 방법은 주식을 발행하는 방법 밖에 남지 않습니다. 회사를 차린 후 주식을 발행해서 1주당 만원으로 계산하면 총 10000주가 나옵니다.

 

10000주를 발행해서 투자자를 모으게 되는데 우리 회사를 믿고 투자해 주시면 성공시키겠다 라는 포부를 갖고 투자자들을 모으게 됩니다. 결론은 1억짜리 회사가 되었지만 정작 주인은 설립한 사람이 아닌 주주인 셈입니다.

 

 

주식의 상승 하락 이유 예시

 

쉽게 이해하려고 하면 제철 음식이 제철 때 비싸지는 이유와 같습니다. 제철 때 비싼 이유는 사람들이 그 때가 맛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수요가 많아 지기 때문에 비싸지는 것이고 때가 아닐 때는 수요가 없어지니 쳐다보지도 않죠.

 

따라서 회사를 잘 운영한다면 이 회사는 잘되겠구나라는 판단을 하게 되고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주식도 오르게됩니다. 반대로 운영이 안되고 매출도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가망이 없다고 판단해 팔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지만 사는 사람들은 없기 때문에 점점 더 가격을 낮춰서라도 팔려고 하게 됩니다.

 

상승과 하락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 설명했는데 이해가 되셨길 바라면서 모든 투자는 지식을 쌓은 후에 하시는 것을 권장드리면서 글 마칩니다.

 

반응형